로고참여중심 뉴스통신사한국공보뉴스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제주
  • 영상단

영상단 갤러리

12345
조회수 : 25,227

참여중심 국민언론 

-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기자는 다만 만들어져 간다 -



 참여중심 국민언론

자신의 일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거나 어떤 분야의 자격증 소지자들을 우리는 "전문가"라고 부른다.

  • "전문가"들은 누구나 자긍심과 소신을 가지기 마련이다. 참여중심 국민언론 "전문가"들이 자신의 일(분야)의 발전과, 시·군·구청 등 공공기관기자의 시각으로 감시, 검증하는 국민언로(言路)이다.  
  • 스스로 삶의 버팀목을 만들어 갈 수 있고 지방정부·정치(시·군·구)를 감시, 검증하며 국민의 삶기여할 수 있게 된다.

 

 언론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눈높이 환경은 크게 변했다. '언론의 사실과 거짓 규명'은 기대와 다르다.

  • '언론의 사실과 거짓 규명'에 대한 불신은 뉴스소비 패턴을 인터넷(유튜브, SNS 등)으로 이동시켰다. 국민 스스로 '사실과 거짓의 규명'에 나서는 시대이다.
  • 다만, 누구나 중앙정부·정치 등을 상대할 수는 없다. 참여중심 국민언론은 자신의 거주지에서 시·군·구 등 공공기관주민생활기자의 시각으로 감시, 검증하는 언로(言路)이다.


민주주의 정치제도는,
진정한 언론의 역할이 없다면 아무도 그 권력의 남용을 방지할 수 없다.
이는 언론을 '권력의 제4부'라고 칭하는 이유이다
언론이 존재하고 존중되는 이유는 오직 하나,
즉, 그 기능인 '사실과 거짓의 규명' 그것 때문이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 위원장(전)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기자전문교육을 받아야 기자가 되는 시대는 지났다. "전문가"들의 전문성은 일반기자보다 월등하기 때문이다.

  • "전문가"들이 지방정부ㆍ정치감시,검증할 때, 일반기자들과 다른 전문분야를 정확히 다룰 수 있다. 자기분야에 대해 전문기자의 시각으로 시·군·구정을 감시,검증할 수 있고 시·군·구민 생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참고-회사소개의 [운영기조]


 특화된 「시스템」

언론(인)들은 누구나 중앙정부ㆍ정치권 등에 전념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방정부ㆍ정치권에 전념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 내가 생활하는 지역의 지방정부ㆍ정치지역민의 삶과 직결된다.
  • 「한국공보뉴스」는 지역에 거주하는 "전문가"들이 지방정부ㆍ정치권감시, 검증하고 주민들의 삶을 담는 「지역밀착형 언론」이다. 국가적 이슈도 어떤 지역에서 발생하기 마련이며,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은 전국 모든 「지역밀착형 언론」전국화되는 특화된 [시스템]이다. 


 「뉴스통신사」다운 시스템

「뉴스통신사」는 기사를 공급하는 언론위의 언론이라 할 수 있다

  • 국내, 국외에 우리나라 모든 지역의 뉴스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통상의 언론사 웹사이트와 전혀 다른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뉴스통신사」다운 시스템이다. 
  • 「한국공보뉴스」는 245곳 「시·군·구공보뉴스」가 각각 취재·편집·보도권 및 운영전권을 보장받는 유일무이한 [시스템]이다. 


한국공보뉴스의 시스템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도 찾을 수 없는 좋은 시스템이다.
시·군·구 공보뉴스가 활성화되면
정치권은 물론 대통령실도 주목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 위원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