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 33,798
참여중심 국민언론
-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
●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언론
자신의 일에 지식과 경륜이 깊거나 어떤 분야의 자격증 소지자들을 우리는 "전문가"라고 부른다.
- "전문가"들은 대부분 자긍심과 소신을 가진다. 참여중심 국민언론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일(분야)의 발전과,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시·군·구청 등 공공기관과 지역민의 민의를 기자의 시각으로 감시, 검증하는 언로(言路)이다.
- 한국공보뉴스는 그러한 언로(言路)를 통해 국민의 삶에 기여할 수 있고 자신의 삶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언로(言路)이다.
● 참여중심 국민언론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눈높이와 환경은 크게 변했다. 국민 스스로 '사실과 거짓의 규명'에 나서는 시대이다.
- '언론의 본질인 사실과 거짓 규명'은 국민의 눈높이와 크게 다르다. 언론에 대한 불신은 뉴스소비 패턴을 인터넷으로 이동시켰다.
- 참여중심 국민언론은 자신의 거주지 시·군·구청 등 공공기관을 기자의 시각으로 감시, 검증하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언론활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언로(言路)이다.
민주주의 정치제도는,
진정한 언론의 역할이 없다면 아무도 그 권력의 남용을 방지할 수 없다.
이는 언론을 '권력의 제4부'라고 칭하는 이유이다
언론이 존재하고 존중되는 이유는 오직 하나,
즉, 그 기능인 '사실과 거짓의 규명' 그것 때문이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 위원장(전)
●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기자전문교육을 받아야만 기자가 되는 시대는 지났다. "전문가"들이 가지는 전문성은 기자전문교육으로는 취득이 불가능한 영역이다.
- "전문가"들이 기자의 시각으로 지방정부ㆍ정치를 감시,검증하려 한다면, 일반기자들이 감히 접근할 수 없는 깊은 곳까지 다룰 수 있다.
- 자신의 일(분야)에 대해 전문기자의 시각만 가지고 있으면 통상의 기자들이 전혀 짐작할 수도 없는 월등한 활동을 할 수 있다 (하단 회사소개 중 [운영기조] 참조)
● 특화된 「시스템」
언론인들은 중앙정부ㆍ정치권 등을 중시하고 지역사회는 홀대하는 경향이 있다. 누구나 중앙정부·정치 등을 상대하고 자신이 국민적 언론인이기를 희망하겠지만 현실은 결코 녹록치 않다. 사실 자신의 거주지역의 지방정부ㆍ정치권이 가장 중요하다. 국가적 이슈도 어떤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 나의 거주지역의 지방정부ㆍ정치는 지역민의 삶과 직결된다.
- 「한국공보뉴스」는 "전문가"들이 자신의 거주지역의 지방정부ㆍ정치권을 감시, 검증하고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지역밀착형 언론」이다.
-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은 전국 모든 「지역밀착형 언론」이 [한국공보뉴스]를 통해 전국화, 세계화되는 특화된 [시스템]이다.
● 「뉴스통신사」다운 시스템
「뉴스통신사」는 언론사에 뉴스를 공급하는 언론이므로 통신사 다운 역할을 하려면 우리나라 전역의 뉴스를 취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즉, 통상의 언론사 웹사이트와는 달라야 한다는 의미이다.
- 「한국공보뉴스」는 우리나라 모든 시·군·구를 245곳 「시·군·구공보뉴스」가 각각 취재·편집·보도권 및 운영전권을 평생 보장하고 각각의 웹사이트로 전국 각 시·군·구를 취재, 보도하는 수 있는 뉴스통신사 다운 [시스템]이다.
● 「뉴스통신사」와 인터넷신문의 차이
- [뉴스통신사]와 인터넷신문은 크게 다르다. [뉴스통신사]는 문화체육부 소관이므로 [문화, 나00000호]와 같이 중앙정부가 표기되며, [인터넷신문]은 광역시,도 소관이므로 [서울, 아00000호], [부산, 아00000호]와 같이 지방정부가 표기되며 기타 모든 언론도 광역시,도 소관이다.
- 세계 4대 통신사는 로이터, AFP, AU, UPI, 우리나라는 연합뉴스가 대표적인 뉴스통신사이다.
한국공보뉴스의 시스템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도 찾을 수 없는 좋은 시스템이다.
각 [시·군·구공보뉴스]가 활성화되면
정치권은 물론 대통령실도 두려워하는 시스템이 된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 위원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