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중심 뉴스통신사한국공보뉴스

참여중심 국민언론 및 신성한 기자의 길 

-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기자는 다만 만들어져 간다 -



 참여중심 국민언론

「참여중심 국민언론」은 자기분야 경륜자(전,현직 언론인 포함)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시·군·구에서 활동(봉사)하며, 시·군·구민(국민)에게 기여하는 참여중심 국민언로(言路)이다. 중앙정치 등 취급에 급급한 매체와는 이 확연히 다르다. 

▶자기분야 경륜자들은 누구나 자기분야(직업)에 대한 자긍심과 소신을 가지고 있다. 이런 분들에게 자기분야(직업)는 물론 시·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언로(言路)로의 참여는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중요한 점은, 자기분야 경륜자들이 시·군·구의 각 기관, 정치인 등을 지켜볼 수 있는 언로(言路)에 참여하는 것, 그 자체가 이미 기자의 길을 걷는다는 점이다. 참여중심 국민언로(言路)는 그러한 언로(言路)이다.   

 

 언론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눈높이 환경은 크게 변했다. 국민들은 '언론이 사실과 거짓 규명'에 충실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언론에 대한 불신은 뉴스소비 패턴을 유명언론매체에서 인터넷(유튜브, SNS 등)으로 이동시켰다. 손바닥에서 세계가 펼쳐지는 시대이다. 우리 국민들은 이미 누구나 "사실과 거짓의 규명"에 나설 수 있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국민이기 때문이다. 다만, 내가 사는 시·군·구의 소식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다.    




 민주주의란 정치제도는 진정한 언론의 역할이 없다면 아무도 그 권력의 남용을 방지할 수 없다. 
 이는 언론을 '권력의 4부'라고 칭하는 이유이다. 
언론이 존재하고 존중되는 이유는 오직 단 하나, ​즉, 그 기능인 '사실과 거짓의 규명' 그것 때문이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위원장 (전)

 

 기자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기자는 다만 만들어져 간다.  

국민들은 기자는 통상 기자전문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착각한다. 그러나, 자기분야(직업)에서 오랜 경륜에서 쌓여진 전문지식은 기자전문교육 등과는 이 확연히 다르다. 오랜 경륜이란 기자전문교육과는 차원이 전혀 다르며 왕도가 없기 때문이다.

▶자기분야(직업)의 경륜자들이 시·군·구의 각 기관, 정치, 경제 등을 검증할 때, 사실 일반기자들은 전혀 접근 불가능한 깊은 내용까지 다룰 수 있다. 즉, 자기분야(직업)은 물론, 내 이웃과 시·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특화된 「시스템」

통상 언론(인)들은 국가적 이슈(정치 등)를 다루어야 언론이라고 착각한다. 그러한 매체들은 많지만 본질에 충실한 매체인지는 의문이다. 중앙정부의 영역과 지방정부의 영역은 엄연히 다르고, 국가적 이슈도 반드시 어떤 시·군·구에서 일어난다. 시·군·구가 홀대 받을 이유는 전혀 없다. 

▶지방자치시대에는 내가 사는 시·군·구의 현안이 매우 중요하다. 시·군·구 주민의 피부에 직접 와 닿는 민감한 사안들은 사실 시·군·구의 업무 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밀착형 언로(言路)」만이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다. 나아가, 시·군·구에서 일어난 국가적 이슈로 당연히 다룰 수 있다. 「지역밀착형 언로(言路)」는 언론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한국공보뉴스」는 시·군·구 현안을 가장 중시하는 「지역밀착형 언론」이다.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은 전국 245 시·군·구의 「지역밀착형 언론」을 전국화하는 특화된 [시스템]이다. 


  「뉴스통신사」 다운 시스템

「뉴스통신사」는 국내, 외 모든 우리 민족에게 전국의 모든 시·군·구(자신의 고향)의 각 기관, 정치, 경제, 사회 등을 자세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것이 가능한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시스템은 시·군·구청 등을 정확하게 겨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 이슈 소재들도 겨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누구나 자기분야(직업)에 종사하면서 자기분야를 자유롭게 취재·편집·보도하며 이웃 사회, 국가와 국민에게 기여할 수 있도록 구축된 언로(言路)이기 때문이다.  

 「한국최대뉴스연합시스템」과 같이 245곳 「시·군·구공보뉴스」가 존재하며 각각 취재·편집·보도권  운영전권을 보장받고 활동하는 [시스템]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홈페이지 하단 회사소개 참조  




한국공보뉴스의 시스템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도 찾을 수 없는 좋은 시스템이다.
각 시·군·구공보뉴스가 활성화되면 정치권은 물론 대통령실도 주목할 수 밖에 없다. 
조창현 박사. 방송위원회위원장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