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참여중심 뉴스통신사한국공보뉴스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제주
  • 영상단

영상단 갤러리

12345
참여중심 뉴스통신사, 한국공보뉴스

전국 가을 폭우에 903명 대피…여의도 14배 농경지 침수

SNS 공유하기


<굵은 빗줄기가 쏟아지고 있는 9월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과역면 일대 도로가 침수된 모습. (사진 = 전남소방 제공). 2024.09.21.>


전국 곳곳에 시간당 100㎜가 넘는 기록적인 호우가 쏟아지면서 여의도 14배 면적에 달하는 농경지가 물에 잠기고 도로에 씽크홀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퍼붓는 비에 일시 대피 인원은 903명으로 늘었다.


9월 21일 행정안전부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지역별 총 누적 강수량은 ▲제주 산지 750.5㎜ ▲경남 창원 461.8㎜ ▲부산 금정 369.5㎜ ▲전남 장흥 365㎜ ▲충남 서산 271.1㎜ ▲대전 서구 270㎜ ▲경남 산청 246.5㎜ ▲충남 논산 256.5㎜ 등으로 나타났다.


전남 진도에서는 한 시간 동안 112.2㎜, 전남 해남에서는 101㎜의 '극한호우'가 쏟아 내리기도 했다.


전국을 강타한 물폭탄에 농경지·농작물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호우로 인해 4116ha 면적에 달하는 농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비와 바람에 쓰러졌다. 이는 여의도 면적(약 290ha)의 약 14배에 달하는 크기다.


지역별로 농작물 침수 피해가 가장 큰 곳은 충남(1897ha)이었다.


이어 전북(1597ha), 경남(462ha), 전남(81ha), 경북(43ha), 충북(29ha), 강원(5ha) 순으로 피해가 컸다.


작물별로는 벼(3831ha), 상추(84ha), 토마토(39ha), 딸기(34ha), 배(8ha), 오이(4ha), 배추(2.2ha)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충북·경남에서는 주택 25곳과 상가 26곳이 침수되는 피해도 발생했다. 공장 3곳(충북·충남), 병원 1곳(충남), 차량 2건(충북)이 물에 잠겼다는 신고도 접수됐다.


공공시설 피해 규모도 커졌다. 경남·세종·경기·충북·충남 도로 83곳이 물에 잠겼고 경남·세종·충북·충남에서 토사 유출 18건과 옹벽 붕괴 1건(충남) 등이 발생했다.


이날 오전 8시45분께 부산 사상구에서는 씽크홀이 발생하면서 트럭 2대가 빠지는 사고도 났다.


현재까지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바탕 퍼부은 비로 종교시설, 마을회관 등으로 일시 대피한 인원도 많아졌다.


6개 시·도 31개 시·군·구에서 581세대(903명)가 일시 대피했다. 이 중 409세대(613명)가 아직 집에 돌아가지 못했다. 


산책로 등 전국 곳곳에 대한 통제도 계속되고 있다.


부산 1곳, 인천 1곳, 세종 5곳, 강원 6곳, 경기 8곳, 충남 4곳, 경북 6곳, 경남1곳에 도로 통행이 막혔고 부산·광주·경기·충북·충남·경남의 지하차도 32곳에 대한 진입도 막아놨다.


국립공원 22개 공원 641구간, 둔치주차장 141곳, 하천변 3561곳, 하상도로 32곳, 수월교 316곳, 야영장·캠핑장 14곳 등도 통제되고 있다.


목포와 홍도, 여수와 거문 등을 오가는 여객선 53개 항로 74척의 운항도 중단됐다.


행안부는 이날 오전 1시부로 중대본을 1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하고 호우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중대본부장인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호우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용한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을 지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남권, 경상권에 호우특보가 발효 중이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시간당 20~40㎜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pnnews@naver.com
저작권자(c) 한국공보뉴스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한국공보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뉴스미란다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공보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kpnnews@naver.com) / 전화 : 1588-9974
  • 정치/경제/사회
  • 교육/문화/관광
  • 보건복지/방재/환경
  • 농수축산/산업/개발
  • 스포츠/연예
  • 읍면동/통신원

    주요뉴스

      영상단 갤러리

      12345

      최근에 작성된 기사